핵심 내용
- 넷플릭스와 SK브로드밴드의 망 사용료 분쟁이 종결되었다.
- 양사는 긴 소송 기간으로 인한 부담을 느끼고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해결하게 되었다.
- 망 사용료 문제는 국내와 해외에서 주목받는 중요한 이슈로, 입법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.
3년 분쟁의 끝
- 2020년부터 지속된 넷플릭스와 SK브로드밴드(SKB) 간의 망 사용료 분쟁이 종결되었다.
- 긴 법적 다툼이 마침내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.
협력으로의 전환
- 양사는 소송을 포기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협의했다.
- 적이었던 어제가 동지가 되어 협력을 모색하는 전환을 보였다.
망 사용료의 중요성
- 망 사용료는 국내와 해외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.
- 2021년에는 넷플릭스가 SKB와의 1심 소송에서 패배한 후, 망 사용료 부과 문제가 더욱 관심을 끌었다.
망 사용료의 기원
- 망 사용료는 콘텐츠사업자(CP)와 통신사업자(ISP) 간에 교환되는 인터넷망 이용 대가다.
- 국내 CP는 연간 700~1,000억 원 수준의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으나, 해외 CP는 이를 회피했다.
SKB의 주장
- SKB는 넷플릭스에게 망 사용료를 청구하며 추가 망 증설 비용을 주장했다.
- 해외 CP에 대한 망 사용료 부과가 국내 CP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주장했다.
넷플릭스의 반발
- 넷플릭스는 해외에서 망 사용료를 요구하는 ISP를 찾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.
- 최종 소비자와 CP에 이중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.
긴 법적 다툼
- 2020년 4월, 넷플릭스가 SKB를 상대로 소송을 시작했다.
- 1심에서 SKB가 승리하고 넷플릭스가 항소했으며, 서울고등법원에서 2심이 진행되었다.
분쟁의 해결
- 양사는 소송을 포기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협의했다.
- 망 사용료 문제도 어느 정도 합의된 것으로 보인다.
협력의 이유
- 갈등을 해결하는 것보다 협력하는 것이 더 이득이라고 판단되었다.
- 넷플릭스는 2심에서 패배하면 다른 ISP들도 망 사용료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불리해질 수 있었다.
앞으로의 계획
- SKB는 내년 상반기에 자사 상품에 넷플릭스를 결합한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.
- 또한,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 관련 상품도 내놓을 예정이다.
논쟁의 지속
- SKB와 넷플릭스의 합의로 망 사용료 논쟁은 종결되지 않았다.
- 국회에는 '망 무임승차 방지법안'이 여러 건 제출되었고, 해외에서도 빅테크 기업의 망 사용료 문제가 논란이다.
법제화 논의의 동향
- 합의로 인해 법제화 논의가 다소 주춤할 수 있다.
- 국내 국회와 유럽연합의 망 무임승차 방지법이 추진될 가능성을 주목해야 한다.
'정보공유 > 경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한민국 금융계의 도둑들, 횡령 대잔치 (1) | 2023.09.26 |
---|---|
브로드컴 VS 삼성전자: 공정위 제재와 그 영향 (2) | 2023.09.26 |
한국 철도 노조 파업: 교통 혼란이 이어진다 (0) | 2023.09.16 |
국민연금 개혁 시나리오: 지금 알아야 할 핵심 내용 (0) | 2023.09.13 |
9월 모의고사와 2023 수능 전망! 킬러 문항 제거로 불안한 수험생들과 치열한 경쟁의 미래 (0) | 2023.09.08 |